목록분류 전체보기 (142)
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서른 개의 수레바퀴살이 바퀴의 중심에 모인다. 수레바퀴의 쓸모는 중심의 빈곳에 있다. 진흙을 이겨 빚어 그릇을 만든다. 그릇의 쓸모는 그릇 내부의 빈곳에 있다. 방에 문과 창을 뚫는다. 그 빈곳들 때문에 방으로 쓰인다. 그러므로 형체가 있는 것은 이로움을 지니지만, 형체를 쓸모 잇게 하는 것은 무형의 것이다. -노자 도덕경 제 11장 원문 노자 철학의 핵심은 도 또는 생성의 길. 항상 변화하는 세게에서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개념. 위의 인용한 도덕경은 ‘담겨진 내부 공간의 우월성’을 나타내고 있다. 비실재는 본질적인 것이며, 재료의 형태로써 형상화된다. 도덕적인 태도(the Good)와 형태의 물리적인 지각(Beauty)을 결부 위의 글귀로 공간미학을 정리해보자면, 공간은 세 단계의 위계로 구분 할..
자신만의 기록방법이나 sns에서 추천할 만한 계정들 추천해주세요 주변의 공공시설물에 변화가 필요한 것들이 뭐가 있을까요 자신만의 기록방법이나 sns에서 추천할 만한 계정들 추천해주세요 @ architechu 건축편집자[AE]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주변의 공공시설물에 변화가 필요한 것들이 뭐가 있을까요 지하철이 가능성이 많은 공간. 고가도로 밑 유휴공간
https://www.junglimaward.com/ 정림학생건축상 정림학생건축상 www.junglimaward.com 지금, 한국성 여의도의 파크원(리처드 로저스)-단청에서 모티브. 우리 현대 한국인에게 단청이 의미가 있나? 한국성을 표현할때 한옥에서 모티브를 따오는데 그게 정말 한국성이냐 술집거리... 술집, 해장국집, 노래방, 편의점 아파트들...일반화 이런 모습에서 한국성을 찾아야한다. 헤르조그&드 뫼론: "도산대로에 좋은 건축은 찾아볼 수 없었다" 황승환님 설계_ 한국성은 움직임이다. 한국인은 삶의 조건에 한국성을 도구로 살아왔다. 움직임 1. 함께: '방'의 확장 자금의 한국인들에게는 집과 공간이 필요하다. 움직임 2. 가꿈: 골목길 각자 공간을 가꾸기 위한 움직임 움직임 3. 집: 다시 지음..
경계: 사물이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분간되는 한계 안과 밖을 정의 할 수 있는가 노마디즘... 유목주의, 공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개인이 주체가 되어 공간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것 건축의 개념ㅇ서 노마디즘이란 공간에 접촉하는 순간 일시적, 즉흥적.. ex)광장 사용자 이용 방식...목적의 혼성성 시간...접속의 일시성 공간 구성 방식...기능의 탈영역성 발제 1. 내가 생각하는 안과 밖이란 굉장히 심리적인 기준인 것 같다. 인터넷에서 내 집에 있더라도 다른 사람이 내 집에 있어서 편안하지 못하다면 그건 외출이다라는 짤. 그래서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외부와 단절된 느낌을 받을 때 밖 공기가 들어오는 곳. 물질적인 요소로 안밖을 나누기엔 공간에서 심리적으로 불안을 느끼면 안이라고 할 수 있나? 신발을 신고 벗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psmE/btrr05hqPMG/6sIrKrp7X8qj4qjIcBKDr0/img.png)
일상 속 건축이 한템포 느린 것 같다. 건축이 보수적. 우리의 트렌드를 바로바로 따라오지는 않는다. 아파트_ 대량공급 건설...서구적 생활방식 대량공급으로 지리적 구분없이 곳곳에서 볼 수 있음 남향선호, 빛을 골라서 사용하는 문화...양적으로 부족함 없이 질을 따지는 특성 형성. 안방... 한국만의 고유명사. 안방이 현대화되긴했지만 현관에서 가장 먼 남향배치를 통해 아직 남아있는 문화를 알 수 있다. 거실중심형... 안방+부엌 중심>거실+부엌의 중심 학교_ 교육의 역사... 담으로 둘러져있으며 감시와 통제의 구조 다른 나라와 배치가 다른 이유는 교육의 철학이 다르기 때문. 우리는 교육과 훈육, 다른 나라는 작은 사회 체험 발제 1. 자신이 겪었던 주거단지 유형이나 학교 건물에 대해 소개해보고, 향후 학교..
학생수의 감소, 폐교의 증가 학교 건축물의 가능성 1. 공간요소의 유지 또는 변형 춘천 오월학교-스테이, 카페, 레스토랑, 베이킹, 나무 창작소, 카라반 등... 어떤것을 남길지가 프로젝트를 결정. 2. 용도의 유지 또는 변화 서진학교-지적장애우를 위한 학교, 배움의 학교이지만 특수학교로 리모델링, 증축, 신축 각 층별로 2개씩 있는 POD 제공 서울공예박물관-풍문여고의 파사드만 바꿈. Q1. 과거 자신이 다니던 학교를 리모델링한다면 어떤 건축적 요소를 유지하고 싶은가요? 고등학교때 학생들을 위해 자유롭게 쓰일 수 있도록 한 공간이 있는데 그게 굉장히 우리학교의 성격을 보여준다고 생각했다. 그 공간에 길고양이 급식소를 설치하기도 했고 지구온난화 실험으로 바나나나무를 심기도 했고 여러 실험을 전시하기도 했..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나는 기억력이 정말 좋지 않은데, 노래는 기억을 끄집어준다. https://www.youtube.com/watch?v=3fR9Uzt06WM 서인국, 정은지-All for you https://www.youtube.com/watch?v=PYGODWJgR-c 원더걸스-why i'm so lonely https://www.youtube.com/watch?v=Rv_DBocf_LU 볼빨간사춘기-red planet앨범 https://music.bugs.co.kr/track/3732251?wl_ref=list_tr_08 어장관리는 시발 가두리 양식장이냐 / 전기사기꾼 벅스에서 지금 감상해 보세요. music.bugs.co.kr https://www.youtube.com/watch?v=Cvq4hf..
내가 '배'같다는 비유를 들었다. 어떤 이는 나는 짐을 너무 많이 싣고 가서 천천히 가라앉는 배와 같다고 하였고 또 어떤 이는 물에 젖든 말든 책임지고 시작과 끝을 보는 배같다고 했다. 대충 남들이 보는 내가 어느정도 짐작이 간다. 나는 왜 늘 자유로운 배가 아닌 짐을 나르는 배였을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frRS/btrr4yBSOuB/MkgAtaWAXbJRpCFo3V4yPK/img.jpg)
후회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나는 후회에 대한 생각이 늘 있는데, 바로 후회 할 사람은 무슨 선택을 하든 후회한다는 것이다. 과거 내가 나름 인생에 있어 중요한 선택을 한 후 일년간을 후회하며 지낸적이 있다. 딱 일년만 후회할 수 있었던 이유는 "너가 만약 다른 선택을 했다면 그땐 또 후회 안했을것같아?" 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정말 맞는말이다. 그 당시 계속 후회하는 나로서는 다른 선택을 했더라도 분명 후회했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선택을 통해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만약 다른 선택을 했다면 지금의 모든 경험은 누리지 못할 것. (물론 반대도 성립) 유행어인 '오히려 좋아'가 어쩌면 나의 인생 모토인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후회를 줄이는 방법은 있지 않을까 고민해보았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