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축 (33)
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https://iuhuos.cafe24.com/bbs/board.php?bo_table=dic&wr_id=84&sfl=wr_subject%7C%7Cwr_1%7C%7Cwr_2&stx=%ED%97%A4%ED%85%8C%EB%A1%9C 아카이브 > 도시인문학용어 사전 > 헤테로토피아(푸코의) 헤테로토피아는 프랑스의 사상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가 고안한 개념으로, 특히 1966년의 저작 『말과 사물. 인간과학의 고고학』, 같은 해의 논문 「헤테로토피아」, 「유토피아적 몸 iuhuos.cafe24.com 헤테로토피아는 프랑스의 사상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가 고안한 개념으로, 특히 1966년의 저작 『말과 사물. 인간과학의 고고학』, 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d2nN/btryk3iUid7/JuFVgKCzRPTLKY4lH0twXk/img.png)
공공 건물이라면 시민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기 위한 그늘이 당연한 요소인듯 한데 그늘 하나없는 이 공간이 전혀 건조하지 않고 부드러웠다는 것이 정말 흥미로웠다. 작년 2학기에 공예학과 수업을 들었을때 공예와 건축의 유사성을 많이 배웠다. 건축이 큰 공예로도 받아들여질수도 있는가... 입면을 공예가가 제작했다는 점이 그 생각을 다시 떠오르게 만들었다. 전시가 청각, 시각, 촉각을 이용해 공예품을 만질수 있도록 만든 것도 재밌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슨트도 있어서 한번 들어보고 싶었는데 필요한 분들에게만 제공이 된다해서 듣지는 못했다. 공예품이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그 공예품을 설명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어둠속의 대화 전시를 다시 한번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공예박물관 하나하나의 공간은 좋았으나 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qhV0/btrvUCncIBK/ovcO9sSePx2y8wR68eN8k1/img.png)
디자인이란 무엇일까? 오랫동안 고민을 해보았다. 사전을 보면 시야가 좁아질 것 같아서 먼저 나의 날것의 생각을 말해보자면, 디자인은 인문환경을 만드는 원천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자연의 것을 어떠한 행위로 사람 혹은 다른 동물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것이 모여 인문환경이 만들어지는데, 여기서 이 '어떠한 행위'가 바로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나만의 정의를 가지고 예시를 분석해보자. 나의 정의대로라면 사람이 쓸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연필을 만드는것과 같은 예시 외에도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요리를 하는 것, 사람이 쓸 수 있도록 길을 만드는 것도 디자인이 될 수 있다. 범위를 이렇게까지 넓히는게 맞는건가 싶어서 이제 사전적 의미와 어원을 따져서 범위를 좁혀보고자한다. 디자인의 사전적 의미는 옥스포드..
공간은 벽의 양측 면 사이에 존재하고, 이 경계는 어느 곳에서는 가로질러지므로, 분할과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벽은 내부 기능을 진실하고 정직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또한 벽에는 내벽과 외벽이라는 두개의 면이 있다. -건축의 공간 개념 야누스 그리스 로마의 신. 출입문의 수호신으로, 출입문을 지키는데 사각이 없도록 머리의 앞뒤로 얼굴이 있다. 고대 로마인들은 우리가 사용하는 문에는 앞뒤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문지기인 야누스를 문에 비유해 얼굴을 두개 가졌다고 묘사한 것이다. 무한의 공간에 벽을 세움으로써 유한의 공간을 만들 수도 있고 경계를 나눌 수 있다. 벽이란 집이나 방 따위의 둘레를 막은 수직 건조물이라고 사전에 정의 되어있다. 벽이란 무엇일까 벽이란… 안도 아니며 밖도 아니며 경계가..
서른 개의 수레바퀴살이 바퀴의 중심에 모인다. 수레바퀴의 쓸모는 중심의 빈곳에 있다. 진흙을 이겨 빚어 그릇을 만든다. 그릇의 쓸모는 그릇 내부의 빈곳에 있다. 방에 문과 창을 뚫는다. 그 빈곳들 때문에 방으로 쓰인다. 그러므로 형체가 있는 것은 이로움을 지니지만, 형체를 쓸모 잇게 하는 것은 무형의 것이다. -노자 도덕경 제 11장 원문 노자 철학의 핵심은 도 또는 생성의 길. 항상 변화하는 세게에서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개념. 위의 인용한 도덕경은 ‘담겨진 내부 공간의 우월성’을 나타내고 있다. 비실재는 본질적인 것이며, 재료의 형태로써 형상화된다. 도덕적인 태도(the Good)와 형태의 물리적인 지각(Beauty)을 결부 위의 글귀로 공간미학을 정리해보자면, 공간은 세 단계의 위계로 구분 할..
https://www.junglimaward.com/ 정림학생건축상 정림학생건축상 www.junglimaward.com 지금, 한국성 여의도의 파크원(리처드 로저스)-단청에서 모티브. 우리 현대 한국인에게 단청이 의미가 있나? 한국성을 표현할때 한옥에서 모티브를 따오는데 그게 정말 한국성이냐 술집거리... 술집, 해장국집, 노래방, 편의점 아파트들...일반화 이런 모습에서 한국성을 찾아야한다. 헤르조그&드 뫼론: "도산대로에 좋은 건축은 찾아볼 수 없었다" 황승환님 설계_ 한국성은 움직임이다. 한국인은 삶의 조건에 한국성을 도구로 살아왔다. 움직임 1. 함께: '방'의 확장 자금의 한국인들에게는 집과 공간이 필요하다. 움직임 2. 가꿈: 골목길 각자 공간을 가꾸기 위한 움직임 움직임 3. 집: 다시 지음..
경계: 사물이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분간되는 한계 안과 밖을 정의 할 수 있는가 노마디즘... 유목주의, 공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개인이 주체가 되어 공간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것 건축의 개념ㅇ서 노마디즘이란 공간에 접촉하는 순간 일시적, 즉흥적.. ex)광장 사용자 이용 방식...목적의 혼성성 시간...접속의 일시성 공간 구성 방식...기능의 탈영역성 발제 1. 내가 생각하는 안과 밖이란 굉장히 심리적인 기준인 것 같다. 인터넷에서 내 집에 있더라도 다른 사람이 내 집에 있어서 편안하지 못하다면 그건 외출이다라는 짤. 그래서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외부와 단절된 느낌을 받을 때 밖 공기가 들어오는 곳. 물질적인 요소로 안밖을 나누기엔 공간에서 심리적으로 불안을 느끼면 안이라고 할 수 있나? 신발을 신고 벗는..
종교 건축은 인간만의 공간이 아닌, 초월적인 신과 만나는 장소로서의 의미 공간구성부터 세세한 장식까지 구석구석 모두 의미를 담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 종교건축물은 중세의 거추장스러운 장식들을 배제하고, 종교를 위한 본연의 고안, 그리고 종교와 관련된 많은 기능을 담고 있다. 사그리다 파밀리아... 속죄의 교회. 세개의 파사드(동쪽 탄생, 남쪽 영광, 서쪽 수난), 북쪽은 머리부분과 제단 예수의 12제자 표현(기둥), 파사드마다 다른 내용을 담음 "나는 세상의 빛이 되리니"-가우디는 건축의 영감을 자연에서 얻음 기독교와 33, 마방진 신석기 시대 고대 무덤인 뉴그레인지...거대한 모듬은 종교와 경제에 바탕을 둔 권력 나타냄 한줄기 빛이 의도된 틈 구멍으로 들어옴. 내세에 대한 믿음과 관련. 빛을 통해 다음..
-지역성의 시작 20세기 초 건축을 향한 획일적, 이원론적 접근 지역문화의 고유성 파괴 >알바알토, 루이스 바라간, 찰스 코레아... 근대건축의 오류를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 잊혀진 제주성 시장논리에 의한 건축 자본 잠식... 누가 이곳을 제주라고 생각할까? 바다, 오름, 항구 사이에 사람들이 있다...제주를 바라보면 제주성을 찾을 수 있다. 머들. 밭을 갈면 올라오는 돌을 한곳으로 모아놓은 돌무더기... 과거 척박했던 땅과 무거운 돌을 옯겼던 사람들의 모습이 떠오른다 건축물이 땅 속에 숨어있다, 돌무더기로 가둬 놓았다.... 어쩌면 침수에 약할지도 하지만 바람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어두움. 그러나 자연에 맞섰던 가족의 따뜻함을 느낄수 있다. 이게 제주성이 아닐까 조금씩 제주성 건축가가 지역성을 대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모든 사람에게 편리한 디자인 한국의 BF인증 제도 발제 1. 본인이 현재 혹은 가장 최근에 설계한 건물에 a. 장애인들이 방문/이용할 때 어떤 점이 불편할 수 있는 요소일지 b. 어떻게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해볼 수 있을지 집합주택 설계를 했는데 3개의 동 중 하나의 동은 사이트 특성상 엘레베이터를 설치 할 수 없어서 한동은 차별받았고 위계가 있는 집합주택이라는 크리틱을 받았다. 2. 유니버설 건축을 장려하기 위해 더 필요한 정책이 있다면? 저희 학교에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전공 수업이 있었는데 과제로 BF의 모든기준에 맞는 건물을 찾는 것이 과제였는데 50명의 학생 중 아무도 그런 건물을 찾지 못했던것이 좀 충격적이고 기억에 남는다. 또 다닌 고등학교가 엘레베이터가 아예 없는 오래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