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터디/책 스터디 (3)
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서론 신체의 형태와 건축 요소들 사이의 유사성은 시대에 따라 어김없이 등장하였고 그 평가와 가치가 변해왔다. 신체에 대한 인식은 모더니즘 이후의 건축에서의 관심이 기능과 형태 중심에서 환경,사람,경험,지각 등으로 전환되면서 건축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신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풀어내려는 것이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었으며 직접적인 활동에 의한 경험이 이전보다 더 강조되었다.현대 건축에서 이러한 신체(몸)을 고려한 공간디자인은 단순히 외부의 환경을 차단하고 보호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개인의 지각과 체험의 한계 및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 이 될 수 있다. 개개 의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구축법을 통한 건축공간화 과정에서 신체의 체험적 특성 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본 논문은 현대건축에서 디..
서른 개의 수레바퀴살이 바퀴의 중심에 모인다. 수레바퀴의 쓸모는 중심의 빈곳에 있다. 진흙을 이겨 빚어 그릇을 만든다. 그릇의 쓸모는 그릇 내부의 빈곳에 있다. 방에 문과 창을 뚫는다. 그 빈곳들 때문에 방으로 쓰인다. 그러므로 형체가 있는 것은 이로움을 지니지만, 형체를 쓸모 잇게 하는 것은 무형의 것이다. -노자 도덕경 제 11장 원문 노자 철학의 핵심은 도 또는 생성의 길. 항상 변화하는 세게에서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다는 개념. 위의 인용한 도덕경은 ‘담겨진 내부 공간의 우월성’을 나타내고 있다. 비실재는 본질적인 것이며, 재료의 형태로써 형상화된다. 도덕적인 태도(the Good)와 형태의 물리적인 지각(Beauty)을 결부 위의 글귀로 공간미학을 정리해보자면, 공간은 세 단계의 위계로 구분 할..
단독 주거와 집합 주거의 설계_무사에이지, 미야우찌 카즈히꼬, 나가세 카즈미 집합주택을 중심으로 Siedlung Halen 집합주택이란 주호를 집합화하여 세운 것으로, 계획적으로 대량 건설된 주택을 말한다. 집합주택은 단순한 주호의 모임은 아니다. 모여서 산다고 하는 생활의 영위는 옛날부터의 촌락생활과 마찬가지로 공동으로 사는 즐거움, 권리와 의무, 현재의 표현을 빌리자면 커뮤니티의 일원으로서 그것을 키워서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그 토지의 새로운 문화를 키우는데에 있다. 하렌 지드룽을 표본으로 집합주거의 설게를 진행해보자. Step1: Survey & Analysis 내용: 부지를 읽는다 도해: 1. 문화적 요소: 역사, 생활, 마을 2. 자연적 요소: 지형, 기후, 식생 의장(공간구성, 마감재료):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