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42)
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https://cadmapper.com/pro/extracts/651be1cf-20f6-4c13-9504-80fdb753f895 CADMAPPER - Worldwide map files for any design program Cadmapper lets anyone create 3D CAD files of any area in the world within minutes. cadmapper.com 사용법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animation&no=440255 (설명 개판)3D 도시 만들기? by 스케치업 https://cadmapper.com/ 위 사이트에서 가입하고 원하는 도시 범위 정해서 스케치업 파일 받고 https://app.sketchup.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d2nN/btryk3iUid7/JuFVgKCzRPTLKY4lH0twXk/img.png)
공공 건물이라면 시민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기 위한 그늘이 당연한 요소인듯 한데 그늘 하나없는 이 공간이 전혀 건조하지 않고 부드러웠다는 것이 정말 흥미로웠다. 작년 2학기에 공예학과 수업을 들었을때 공예와 건축의 유사성을 많이 배웠다. 건축이 큰 공예로도 받아들여질수도 있는가... 입면을 공예가가 제작했다는 점이 그 생각을 다시 떠오르게 만들었다. 전시가 청각, 시각, 촉각을 이용해 공예품을 만질수 있도록 만든 것도 재밌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슨트도 있어서 한번 들어보고 싶었는데 필요한 분들에게만 제공이 된다해서 듣지는 못했다. 공예품이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그 공예품을 설명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어둠속의 대화 전시를 다시 한번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공예박물관 하나하나의 공간은 좋았으나 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77oc/btrv8EUqb6E/m1tvItn1IyVXxl0nEFjk0K/img.jpg)
고든 번샤프트 두려울정도로 효율적으로 되면 우리들의 건축은 메말라버린다 그러므로 우리들의 조직은 가능한 루즈하게 하려고 생각하고있다. -Gordon Bunshaft- 평등한 건축 조직 독창적인 디자인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추구 기능적 해결 1937-1942 SOM 수석 디자이너 내부의 창문은 개방된 옥상정원쪽을 향해서 외부로는 막혀있지만 중정을 향해 열림 이 공중정원은 외부의 빛을 퍼뜨리면서도 환기와 열을 식히는 중요한 역할 미국 건축에 강한 영향 육중해보이던 마천루를 가볍고 새로운 이미지로 변환 오스카 니에예메르 전통 기능주의의 단계를 극복해나가는 브라질의 건축은 바야흐로 조형 표현 탐구에 돌입했다 기념비 조각가, 곡선의 건축, 콘크리트의 피카소 도전적 조각, 예술작품같은 건축물 자..
얼마 전 어느 잡지에서 지적했듯이 요즘 우리 언어생활에 3인칭 화법이 많이 보인다. 1인칭대명사 ‘나’를 3인칭으로 바꾸어 말하는 방식을 3인칭 화법이라 한다. 사실 3인칭 화법이 전혀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합리적 판단을 위한 객관화의 방법으로 매우 유효할 때도 있다. 그러나 객관화의 목적이 아닌 경우, 발화의 주체를 흐리고 권위적 목소리를 만들어 사회의 언어 상황을 흐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문제를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3인칭 화법은 때로 상황을 객관화해 합리적 판단에 도움을 준다. “네가 내게 아무 말도 없이 가버리면 나는 어떡하라는 말이냐?”라는 말보다 “소풍 행사가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학생이 교사에게 아무 말도 없이 먼저 가버리면 인솔 책임을 지고 있는 교사로서는 난감할 일 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qhV0/btrvUCncIBK/ovcO9sSePx2y8wR68eN8k1/img.png)
디자인이란 무엇일까? 오랫동안 고민을 해보았다. 사전을 보면 시야가 좁아질 것 같아서 먼저 나의 날것의 생각을 말해보자면, 디자인은 인문환경을 만드는 원천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자연의 것을 어떠한 행위로 사람 혹은 다른 동물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것이 모여 인문환경이 만들어지는데, 여기서 이 '어떠한 행위'가 바로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나만의 정의를 가지고 예시를 분석해보자. 나의 정의대로라면 사람이 쓸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연필을 만드는것과 같은 예시 외에도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요리를 하는 것, 사람이 쓸 수 있도록 길을 만드는 것도 디자인이 될 수 있다. 범위를 이렇게까지 넓히는게 맞는건가 싶어서 이제 사전적 의미와 어원을 따져서 범위를 좁혀보고자한다. 디자인의 사전적 의미는 옥스포드..
1870년생 오스트리아 출신의 아돌프 로스. 그는 에세이를 발표하면서 장식은 원시인과 범죄자가 선호하는 야만적인 형상이며, 불필요한 장식의 거부하는 것이 문명사회의 지표임을 주장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공예 역사에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먼저 아돌프 로스가 활동을 시작하던 때를 알아보자. 아돌프 로스가 활동을 시작하던 시기에는 세세션이 유행 중이었다. 세세션은 개성적인 창조를 목표로 1892년 뮌헨(독일)에서 창시된 아르누보와 다른 기하학적인 양식이다. 또한 글래스고의 엄격한 성적인 양식의 영향을 받아 기하학적인 형태가 표면 장식에서 발견되고, 작은 원과 사각형의 반복적인 패턴이 드러난다. 아돌프 로스는 이러한 당시의 세세션 양식에 염증을 느끼고, 장식을 철저하게 배제한 순수한 형태를 지향해야 한다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WOhT/btrsxga0iwJ/k8ZQkzgk2WM28SSbkYf30K/img.jpg)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가 2022년인 지금까지도 말썽이다. 2020에는 여기저기 '코로나로 인해 잃어버린 일상을 되찾자'는 슬로건이 걸렸었다. 당시 20살이었던 나에게 코로나는 매우 큰 파도로 다가왔다. 처음으로 우울과 무기력증이 찾아온 것. 외향형에 바쁜걸 사랑하는 나로서는, 집에만 콕 박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실에 괴로워했다. 물론 나만 그런것은 아니기에, '코로나 블루'라는 단어가 생겼을 것이다. 다행히도 나는 코로나 블루를, 비대면 대외활동으로 잘 극복해냈다. 지금은 별거 아닌것처럼 이야기하지만, 당시에는 정말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삶에는 참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 변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현명한 사람들도 있겠지만 나에게 삶을 살아가는 것이란 변수를 극복하면서 얻는 보상으로, 다음 변..
공간은 벽의 양측 면 사이에 존재하고, 이 경계는 어느 곳에서는 가로질러지므로, 분할과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벽은 내부 기능을 진실하고 정직하게 표현하기도 하고, 또한 벽에는 내벽과 외벽이라는 두개의 면이 있다. -건축의 공간 개념 야누스 그리스 로마의 신. 출입문의 수호신으로, 출입문을 지키는데 사각이 없도록 머리의 앞뒤로 얼굴이 있다. 고대 로마인들은 우리가 사용하는 문에는 앞뒤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문지기인 야누스를 문에 비유해 얼굴을 두개 가졌다고 묘사한 것이다. 무한의 공간에 벽을 세움으로써 유한의 공간을 만들 수도 있고 경계를 나눌 수 있다. 벽이란 집이나 방 따위의 둘레를 막은 수직 건조물이라고 사전에 정의 되어있다. 벽이란 무엇일까 벽이란… 안도 아니며 밖도 아니며 경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