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42)
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르코르뷔지에와 피터 아이젠만의 공통점 :황금비율에 가까운 도형 A B A B A 리듬의 공간적 구성 발제 1. 여러분들이 설계를할때, 혹은 다른건물들을 볼때 기능을 하지않는 공간이나 요소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요? 데드스페이스. 활용하기 어려운 공간 피터 아이젠만의 사용하지 않는 공간은 데드스페이스와 등가화해야하나 이분적으로 생각하나 보이드. 건축가의 의도가 담긴 공간이니 데드스페이스는 아니지 않을까. 피터아이젠만 비율을 위해서만 만들어진 공간. 의도했지만 사용자들은 불편함을 느낌. 시대정신과 건축가의 의도가 중요한건가, 사용자가 중요한가. 2. 여러분은 건축에서 공간과 재료성의 관계 및 의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재료성, 그러니까 재료가 사용자에게 주는 물성 자체가 공간이 될수도 있다고 생각...
다니엘 로스트의 플라워 디자인 -소재선택 -표현기법: 정교한 짜임새, 독보적 스케일, 오브제적 조형문 연풀 -색의 조합: 색의 단순화, 주목성 극대화 -공간구성 실외공간:의미부여 천정형: 조명 극대화, 방향성 바닥형: 공간의 영역 분할 테이블: 공간 전체 분위기 이끄는 장식적 오브제 일시성적 공간 IPS 특징: 시간적 제약, 일회성, 소멸성 외부 공간 진입부 / 천정 / 바닥 / 테이블 창의력을 거름으로 피어나는 꽃 토픽 1. IPS 공간을 제외하고 플라워 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과 그 이유 ? 플랜테리어, 정크스페이스에 활용. 주택에 플라워 디자인? 정원과 무슨 차이가 있나? 플라워 디자인이 일시적인 IPS외에 장기적인 공간에 적용된다면 디자이너는 어디까지 작품관리에 책임을 져야 하는가 ㄴ장기적일..

현대건축사. 책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을 공부하지만. 막상 내 설계는 깊이가 너무 얕다. 시대정신보다는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맞춰주는 요즘. 어떻게하면 더 깊이있는, 시대정신 담긴 건축을 할 있을까? 공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를 고민. 고전, 양식, 기능을 배운다. 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 고전을 배워야하는 이유. 있지만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이 되는가? 컨셉, 소프트웨어, 스토리 / 아이디어, 하드웨어, 물리적인 환경 물리적인 것은 언제든지 바꿀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측면은 오랜시간 축적된 시대정신이라고 생각한다 4.3그룹의 김인철 건축가는 시대정신을 항상 생각한다. 클라이언트 요구를 충족 하드웨어+시대정신 소프트웨어 추천책>공간열기-김인철 한국건축의 현대화(승효상, 김인철...) 우리는 래퍼렌스를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