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스터디] 한국의 스포츠 건축 발전 본문
스포츠 건축
경기장, 연습구장, 체육센터 등의 건축물
-역사
1988 김수근의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
2001-2002 전국에 월드컵 경기장과 굵직한 경기장 건설
2015 한국 최초의 돔구장 건설. 고척 스카이돔
-스포츠 건축 트렌드와 한국
경제성: 경제적인 이득을 최대화. 스포츠 경기 이외의 활동 가능
지역성: 지역사회에 어울리는지. 랜드마크
기술집약: 국가경쟁력. 기업의 이미지
-SoFi스타디움
공항으로 유명한 지역 특성
문화 복합 공간
현존 최고급 음향시설
-발제
한국만의 스포츠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건축적 컨텍스트?
황금비 아닌 금강비를 기둥에 이용해보자
한국인만의 스포츠 문화? 과격하고 난폭함. 치맥.
스포츠 경기장의 입지조건... 소음 등과 관련해서 외곽에 위치해있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인프라 차원에서 유입이 된 지금의 경기장을 어떻게 리노베이션을 할 것인가가 중요한게 아닐까? 목적성을 가지면서도 일상성을 가지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런던올림픽 주 경기장을 구조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해체할 수 있음. 부분 분해로 렌트를 해줘서 수익을 창출한다. 야구장 리노베이션에 대해 더 이야기 듣고싶어요
스포츠 경기장이 목적성을 가지면서도 일상성을 가지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완전 동의. 그러면 스포츠 경기장이 외곽에 위치해 있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신다고 말씀하셨는데, 어떤 프로그램이면 외곽에 두면서도 일상성을 가질 수 있을지 다른 분들의 의견도 궁금하고, 야구장 리노베이션 하신것 이야기 더 들어보고 싶어요.
스포츠에 관심없어도 자주 갈 수 있는 스포츠 경기장?
'동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터디] 공간의 웨이파인딩 (0) | 2022.01.08 |
---|---|
[스터디] 미래의 공유주거, 코리빙(+맹그로브 신설 체험기) (0) | 2021.12.18 |
[스터디] façade architecture (0) | 2021.11.27 |
[스터디] 안도다다오, 새로운 시도(JCC아트센터) (0) | 2021.11.27 |
[스터디] 바이오필리아, 우리는 과연 자연을 사랑하는가 (0) | 202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