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스터디] 한국성에 대하여 본문

동아리

[스터디] 한국성에 대하여

보풀떼기 2022. 1. 15. 14:39

한국성이라고 하면 한옥을 떠올린다

 

한국성의 형태적인 특징을 보자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 새종 문화회관, 전주 시청 건물, 예술의 전당

전통 건축물의 형태를 따르거나 영감을 얻어서...

 

but 새로운 시각에서 한국성을 보자

무주추모의 집.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울림. 지역민을 존중

안성면 행정복지센터. 관공서를 하나의 소통의 장. 한국적

 

한국인의 삶이 한국성이라는 정신을 기반으로 사람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와의 소통을 이루는 설계를 통해 한국성을 표현. 추가적으로 친환경성.

 

김수근

다양하면서도 비스한 공간들이 조화를 이룬다. 샘터 사옥은 개인적이며 공적인 필로티를 만들어 일정하지 않은 우리나라 골목과비슷한 느씸

이전 한국 건축의 특성 재해석

 

쌈지길. 한옥의 중정. 근현대 과거의 한옥

근대 한국의 모습과 전통 한국의 모습

 

지금의 한국 아파트. 우리 나라에는 자연환경과 가장 어울리는게 아파트 아닐까

한국의 자연을 통해 완성되는 한국성

 

부분적인 옛것으로 구현되는 한국성

 

형태와 삶을 통해 수현하는 한국성

 

한국성... 가시적, 비가시적...

 

발제

-현재의 우리에게 있어 한국성이란 무엇일까

한국성을 떠올리면 전통한옥을 대부분 떠올리고 근대 건축을 떠올리지 않는 것 같다. 그 이유가 우리나라 근대건축은 한국이 자주성을 가지고 근대 건축을 한국적으로 해석했다기보다는 일제강점기때 짧은 시간안에 서양 건축을 받아들여서 인 것 같다. 만약 우리가 자주적으로 서양건축을 받아들였다면 어떤 근대 건축이 되었을지 의견이 궁금하다

 

거실 중심이 옛날 한국성. 지금은 좁고 높은 아파트로 인해... 지형적인 특성떄문에 바뀐게 아닐까?

 

-한국성을 구현하는 것에 실패했다 생각하는 사례와 성공했다고 생각하는 사례

아모레 성수 갔을때, 중정과 기둥식 구조, 큰 직사각형 창문, 골조 드러나는 부분, 내부 공간감이나 스케일감이 비슷할때 한국적으로 느껴진다.

 

국립국악중고등학교

 

-한국성을 지니기 위한 여러 건축 시도 중 어떤 것이 가장 부합할까

 

한옥에서 존재하는 여러 요소(마당, 처마, 방, 기단 등)의 고유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현대 건축의 재료와 구조로 재해석하는 게 필요

 

지역성을 통해서 한국성을 찾는것. 지역마다 생활양식이 다르다. 모든 지역의 공통점을 찾는것이 현대적인 한국성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