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동아리 (23)
열심히 굴러가는 굴렁쇠
다니엘 로스트의 플라워 디자인 -소재선택 -표현기법: 정교한 짜임새, 독보적 스케일, 오브제적 조형문 연풀 -색의 조합: 색의 단순화, 주목성 극대화 -공간구성 실외공간:의미부여 천정형: 조명 극대화, 방향성 바닥형: 공간의 영역 분할 테이블: 공간 전체 분위기 이끄는 장식적 오브제 일시성적 공간 IPS 특징: 시간적 제약, 일회성, 소멸성 외부 공간 진입부 / 천정 / 바닥 / 테이블 창의력을 거름으로 피어나는 꽃 토픽 1. IPS 공간을 제외하고 플라워 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과 그 이유 ? 플랜테리어, 정크스페이스에 활용. 주택에 플라워 디자인? 정원과 무슨 차이가 있나? 플라워 디자인이 일시적인 IPS외에 장기적인 공간에 적용된다면 디자이너는 어디까지 작품관리에 책임을 져야 하는가 ㄴ장기적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tXK2i/btq5t3Md0Nq/lRq0xor7LS1Wq1n42O55jK/img.png)
현대건축사. 책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을 공부하지만. 막상 내 설계는 깊이가 너무 얕다. 시대정신보다는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맞춰주는 요즘. 어떻게하면 더 깊이있는, 시대정신 담긴 건축을 할 있을까? 공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를 고민. 고전, 양식, 기능을 배운다. 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 고전을 배워야하는 이유. 있지만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이 되는가? 컨셉, 소프트웨어, 스토리 / 아이디어, 하드웨어, 물리적인 환경 물리적인 것은 언제든지 바꿀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측면은 오랜시간 축적된 시대정신이라고 생각한다 4.3그룹의 김인철 건축가는 시대정신을 항상 생각한다. 클라이언트 요구를 충족 하드웨어+시대정신 소프트웨어 추천책>공간열기-김인철 한국건축의 현대화(승효상, 김인철...) 우리는 래퍼렌스를 많..
도시재생에 있어 중요한 "가치"란? 도시재생의 가치란 무엇인가. 주관적인 가치, 객관적인 가치? 주관적인 가치가 객관척인 경제성으로 판단된다. 민간이냐 공공이냐에 따라 지향하는 가치가 다를 것. 해외와 국내 비교하는 것은 어려울것. 해외는 교통이 좋지 않다. 그래서 해외는 도시재생을 할 때, 교통을 발달시키면 도시재생이 비교적 쉽다. 해외는 밖으로 나가는것을, 국내는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선호 interior보다는 exterior을 신경써야 하지 않을까. 외부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어떻게 지속가능성? 방향성이 잡혀야할 것. 건물중심으로 주변환경을 고유성을 가지고, monument적인 성격을 지닌다면? 지속가능성이란... 재료, 가변성 등등. 좀더 구체적인 내용을 찾았으면 좋겠다. 만약 구체적인 내용을..